728x90 반응형 대법원판례4 환산보증금 초과 임대차에서 임대인의 계약 해지권 안녕하세요 건강 주식 부동산 전문가 건주부입니다.상가를 거래하실 때 제일 중요한 것은 상가임대차 보호법을 적용받는지입니다.상가 임대차 보호를 받기 위해서는 환산보증금을 기준으로 적용 대상을 판단하게 됩니다.오늘 확인할 대법원 판례는 환산보증금을 초과하는 임대차에서 묵시적 갱신이 이루어졌습니다.그러나 임대인이 계약 해지를 하여 소송으로 다투었는데 대법원에서는 어떻게 판결을 하였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환산 보증금 기본 개념우선은 환산 보증금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환산보증금은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의 적용 범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보증금과 월세를 일정한 방식으로 계산하여 합산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환산보증금이 일정 금액을 넘을 경우, 법적 보호를 받는 임대차 권리가 제.. 2025. 6. 9. 법인인 임차인(직원, 임원)의 계약 갱신 요구권 인정 여부 안녕하세요 건주부입니다.주택임대차보호법 6조(계약의 갱신) 관련한 주요 판례에 대하여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법인의 직원이 임차하여 대항력을 취득한 경우 직원이 계약 갱신 요구를 할 수 있을까요?법인의 임원인 대표이사 또는 사회 이사가 임차하여 대항요건을 취득한 경우 계약 갱신 요구를 할 수 있을까요?※법인 : 주택임대차보호법에 적용되는 법인은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인 법인에 한정합니다. 즉 대기업은 해당이 안 됩니다.이웃님들 바로 답변이 가능하십니까?혹 현재 회사의 명의로 임차한 주택에 전월세로 살고 계신 독자님들 과연 내가 계약 갱신 요구를 할 수 있는지 궁금하신가요?대법원 판례를 기준으로 시원하게 답변드리겠습니다.[4탄] 시작합니다.[4탄] 법인인 임차인(대표이사).. 2025. 6. 2. 계약 갱신이후 다시 해지 통지 하였을 때 해지 효과는 언제 발생할까? 안녕하세요 건주부입니다.임차인의 계약 해지 통지는 해지 통지 후 3개월이 지나면 그 효력이 발생합니다.그런데 그 기산일이 언제일까요?임차인이 계약 갱신 후 다시 해지 통지를 한 날부터 3개월?아니면 기존 계약기간 완료 이후 3개월?[3탄] 시작합니다.[3탄] 임차인이 계약 갱신을 요구한 뒤 다시 계약 해지 통지를 하였는데 해지 효과의 기산일은?1. 주택 임대차 계약기간이 2020년 5월 1일까지이고, 같은 해 2월 1일 임차인이 계약 갱신을 요구함2. 임차인은 9일 뒤인 2월 10일 다시 계약 해지 통지를 함3. 임차인은 해지 통지를 한 2월 10일 후 3개월이 지난 2020년 5월 11일에 해지 효과가 발생한다고 주장.4. 임대인은 기존 계약기간 종료일 다음날(2020년 5월 2일) .. 2025. 5. 31. 상가 권리금 받는법 : 임대인이 임차인 권리금 회수 방해 손해배상 청구 안녕하세요 섬기며 공인중개사 조성민입니다.오늘은 상가임대자보호법 제10조의 4(권리금회수 기회보호)에 대한 대법원 판례 중 임대인을 상대로 임차인이 권리금 회수기회 방해로 인한 손해배상을 청구관련 판례를 쉽게 풀어보고자 합니다.10조 4항 : 임대인은 임차인이 새로운 임차인에게 권리금을 받을 기회를 방해해서는 아니 된다. 임대인이 새로운 임차인에게 임대차 계약을 거부할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이를 거부해서는 안 된다.상가임대차보호법관련 상가임대차 보호법에 관련한 글은 다음을 참조하세요https://blog.naver.com/david_77777/223555886608 알기 쉬운 상가임대차보호법안녕하세요 섬기며입니다. 상가임대차 보호법을 아주 쉽게 한번 풀어보았습니다 법이라는게 원래 용어도 딱.... 2025. 5. 1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